본문 바로가기

주식

[주식] 반도체 관련주(수혜주)를 주목하자!!!(3편)

1,2편에 걸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대해 알아 봤습니다.
앞에 두 업체는 완제품 생산 업체라고 봐야겠죠. 이제 어떤 회사가 있을까요?

반도체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생산장비가 필요 할 것이고, 부품, 소재등도 필요하겠죠. 
이번에는 이런 업체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네이버 증권에서 반도체 관련 업종 카테고리를 확인해보면 업체가 엄청 나게 많이 나옵니다. 
너무 많아서 몇개 업체인지 다 세어보지도 못하겠더군요.


공정별로 잘 정리 된 표가 있어서 가져와 봤습니다.
이렇게 정리 해도 엄청 많죠?

크게 전공정, 후공정으로 나눠는데 공정 내용을 봐도 정확하게 뭘 하는 것인지 다 이해 하긴 힘듭니다. 
반도체 공정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으면 좋기는 하겠지만 우리가 모든 산업을 바싹하게 알고 있기는 현실적으로 힘드니 이런게 있다 정도만 이해하고 넘어 가도록 하죠.

이제 개별 종목을 살펴 봐야 되는데 위 표에 있는 종목만 살펴봐도 그 숫자가 엄청 납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살펴보고 있는 몇개만 골라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원익IPS

▶기업개요


- 위 표는 원익IPS 사업영역입니다.  주로 증착장비를 생산하는 업체입니다.
- 많은 업체가 그렇지만 이회사는 반도체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쪽 증착장비도 생산하는 업체입니다.
- 원익홀딩스에서 인적분할로 설립된 신설회사로 2016년 5월 재상장하였으며, 원익홀딩스가 영위하던 사업 중 반도체, Display 및 Solar 장비의 제조사업부문을 담당
- 매출구성은 반도체 외 제품 87%, 상품 및 용역 13% 등으로 구성

▶ 투자포인트
- 테라 세미콘 인수로 증착 공정 관련 시너지가 기대 되는 회사 입니다.
- 3D NAND 투자가 확대 됨에 따라 가장 큰 수혜를 받을 업체 중 하나로 예상됩니다.
- 메모리 반도체 중심에서 OLED등 사업 다각화가 진행 되고 있습니다.
- 중국에서 메모리 반도체, OLED 투자를 확대 하고 있는데 그 수혜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테스

▶기업개요

반도체 및 태양전지 제조에 필요한 장비를 생산하는 장비제조업을 영위하며 반도체 소자업체와 태양전지 제조업체가 주요 고객입니다.
- 매출구성은 반도체 및 태양전지 장비 88.66%, 원부자재 등 11.34%으로 구성.

▶ 투자포인트

- 원익 IPS와 비슷한 전망으로 보면 됩니다.
- 3D NAND 투자가 확대 됨에 따라 가장 큰 수혜를 받을 업체 중 하나로 예상됩니다.
- 메모리 반도체 중심에서 OLED등 사업 다각화가 진행 되고 있습니다.
- 중국에서 메모리 반도체, OLED 투자를 확대 하고 있는데 그 수혜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동진쎄미켐

▶기업개요

- 1973년 7월에 법인 설립되어 반도체 및 TFT-LCD, PDP 등의 노광공정에 사용되는 Photoresist 관련 전자재료사업과 산업용 기초소재인 발포제사업을 하는 업체입니다.
- 전자재료 부문은 반도체 및 LCD 경기에 영향을 받으나, 산업 특성상 일정 생산량을 유지하므로 안정적 매출 지속. 발포제 부문에서 산업 전반의 회복세 및 에너지 절감 산업 확대 등 해외 수요 신장, 꾸준한 성장 예상
- 매출구성은 국내전자재료 74.69%, 해외전자재료 25.00%, 국내정제유 0.32%으로 구성

▶ 투자포인트

- 국내 유일의 KRF 감광제 생산 업체입니다.(3D낸드 측면 식각액입니다.)
- 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 모두 납품 하고 있습니다.
- 중 BOE 기업에 독점 수출
-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모두 납품 하고 있습니다.
- 과도한 감가상각
   통상적으로 장비의 경우 8년 감가상각을 하나 동진쎄미켐의 경우는 4년 감가상각을 함.
   표면적으로 타사에 비해서 수익성이 떨어져 보이는 효과 있음.
   2017년 감가상각비는 2016년 730억원 대비 120억원 줄어든 610억원으로 예상됨. 감소분 만큼 영업이익 증가.


■ 솔브레인

▶기업개요

- 반도체 및 전자 관련 화학재료 제조 및 판매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86년 5월 6일 (주)테크노무역으로 설립. 2000년 1월 18일에 코스닥시장 상장 후 2011년 (주)솔브레인으로 상호 변경
- 반도체 공정용 화학재료, 디스플레이 공정용 화학재료, 2차 전지 전해액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국내의 주요 반도체, 디스플레이 제조사, 2차 전지 제조사에 제품을 공급
- 스마트기기 판매 호조로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각광받고 있는 AMOLED산업 성장. 2차 전지 수요는 소형전지 위주로 급속 성장세로 향후 전기자동차, ESS 등으로 확대될 경우, 기기 대형화로 재료 수요도 급증할 전망
- 매출구성은 반도체재료 48.96%, 디스플레이재료 41.33%, 기타 9.71%으로 구성


▶ 투자포인트

-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 전지 등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로 인한 안정성.
- 기존 반도체가 미세공정이 핵심이라면 3D낸드의 경우는 적층이 핵심입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핵심인 인산계 식각액을 독점 생산 하는 형태임.
- 2017년 식각액 매출액은 크게 증가 할것으로 기대됨.
 - PER 10배, PBR 1.7배 등으로 벨류에이션이 상대적으로 낮아 부담이 적은 구간이다.


■ 유니테스트

▶기업개요

-반도체 검사 장비를 전문으로 개발 생산하는 업체임.
- 소자업체와의 기술공동개발을 통해 이미 제품 국산화 및 상용화에 성공함으로 경쟁력을 확보해옴동사는 반도체 검사 장비를 전문으로 개발 생산하는 업체임. 
- 전체 임직원 중 연구인력이 약 40%를 차지하며 대부분 삼성전자 및 하이닉스반도체 출신의 메모리 테스트 경력을 보유한 엔지니어들로서 업계 최고 수준의 연구개발 인력을 확보.
- 매출구성은 메모리 컴포넌트 테스트 장비 94.28%, PL램프 3.56%, 메모리 모듈 테스트 장비 1.56%, 프로그램 판매 등 0.60%, JIG류, Socket Guide 등 0.00%으로 구성


▶ 투자포인트

- 설립 이후 줄곧 반도체 검사장비 관련 분야에만 집중해왔고 소자업체와의 기술공동개발을 통해 이미 제품 국산화 및 상용화에 성공함으로써 자체 기술력은 가지고 있음.
- 기존에 글로벌 장비 업체들이 과점하고 있는 테스터의 국산화를 이뤄내서 매출 확장성이 가시화 되고 있음.
- D램 테스터 장비에서 NAND용 장비로 사업을 다각화 하고 있음. 향후 매출 성장성 기대 할만 함.
- 올해 예상실적 기준 PER(주가수익배율) 7.4배로 밸류에이션 매력적인 구간임.
- 중국의 반도체 확정 정책이 본격 영향을 받을 시점을 논여겨 볼만 함.


■ 바른전자

▶기업개요

동사는 종합 반도체 전문 업체로 1998년 2월 17일에 설립. 2002년 12월 3일 코스닥시장 상장
- 스마트 SIP 부문은 기존의 스마트카드가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어 휴대폰 유심카드와 금융으로 확장. 삼성전자, LG전자를 포함 약 1천여개 국내 전자업체에 첨단 반도체 솔루션 및 이와 관련된 기술지원 중임.
- 신 성장 동력 제품으로 Convergence Card, eMMC과 Solution 응용을 연구개발 중.
- 매출구성은 SIP 98.03%, IoT 1.97%으로 구성.


▶ 투자포인트

- 반도체 후공정인 SiP(system in a package)사업을 주로 하는 업체.  위 사진을 보시면 대충 어떤 것을 뜻 하는지 알수 있습니다.
- 바른전자는 견조한 매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매출에 비해서 수익성이 높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현시점 PER22배로 높은 벨류에이션은 부담 스러운 구간임.

- 개인적으로 추천하는 종목은 아닌데 소개 하게 된 이유는 최근 문제인 테마주로 분류가 되는 분위기라서 살짝 소개를 해봤습니다. 
   왜 문제인 테마주로 분류되는지 이유는 모르겠지만(아마 4차산업 이슈인듯 한데) 어쨌든 정치테마주라는 것이 구체적인 실체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냥 재미로 살펴보신다면 될것 같습니다. 정치테마 + 반도체 테마 묶여서 훅~ 오를지도 모르는 일이죠. ㅎㅎ


업체별로 구체적으로 정리를 좀 하고 싶었는데 관련업체들이 워낙 많다 보니 포인트만 몇개씩 언급했습니다. 
담에 기회가 되면 2~3개 업체만이라도 자세히 살펴 보도록 할께요.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성장세를 보이는 이상 분명히 관련주들도 영향을 받을 것입니다. 그 시기가 언제냐 판단하는 것이 관건이겠죠. 
반도체 관련주들은 꾸준히 체크를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