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부동산] 2017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이번 포스팅은 2017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부동산에 관심을 가지다 보면 개별공시지가라는 용어를 많이 듣게 됩니다.
정확하게 무슨 뜻인지 먼저 알아 봐야겠죠.

개별공시지가란?
표준지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하여 산정한 개별토지에 대한 단위면적당(원/㎡) 가격이다.
국토교통부장관이 매년 공시하는 표준지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하여 시장·군수·구청장 등이 조사하여 산정한 공시지가로, 토지의 특성조사와 표준지 선정여부로 결정한다.

전국 251개 시·군·구는 중앙부동산평가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매년 2월 말경에 공시된 표준지공시지가를 기준으로 6월 30일까지 전국의 약 3,143만 필지에 대한 개별공시지가를 산정해 공시한다.
개별공시지가는 양도소득세·증여세·상속세 등 국세와 재산세·취득세 등 지방세는 물론 개발부담금·농지전용부담금 등을 산정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해당기관이 공시지가를 고시할 때에는 일정기간 토지소유자들에게 열람을 시키거나 개별통지를 해야 한다.
이때 이의가 있으면 30일 이내에 서면으로 해당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이의를 할 수 있으며, 이의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에는 행정심판과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개별공시지가 [個別公示地價] (두산백과)



예전에는 부동산을 일일이 찾아 다니면서 알아봐야 됐던 정보들이 이제는 인터넷 하나로 편하게 알아 볼수가 있습니다.
개별공시지가도 마찬가지입니다.


우선 검색엔진에서 '2017년 개별공시지가 조회'라고 검색을 합니다.
'개별공시지가',' 개별공시지가 조회'등으로 검색을 해도 무방합니다.

위와 같이 '국토교통부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 사이트가 검색이 되면 클릭해서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국토교통부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홈페이지에 접속을 했으면 상단 우측에 있는 [개별공시지가] 메뉴를 클릭 합니다.


각 시,군,구청 홈페이지에 연결 되는 메뉴가 나오게 됩니다.
원하는 지역을 선택해서 클릭 합니다.
저는 서울특별시로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울특별시 [개별공시지가 열람] 페이지가 나오게 됩니다.
여기서 '2017년 개볼공시지가 조회'를 원하는 지역 주소를 입력 합니다.
주소는 지번입력조회, 도로명주소입력조회 두가지 모두 가능합니다.


저는 지번입력 조회로 해봤습니다.
서울에서 가장 비싼 지역인 강남구, 그중에서도 청담동으로 검색을 해봤습니다.
특정 지번을 입력해서 검색을 했더니 과거부터 해서 최근까지 개별공시지가 확인이 가능합니다.

10년전인 2006년 기준으로 거의 2배정도로 개별공시지가가 올랐네요.
역시 부동산 투자가 최고인 것 같습니다. ㅎㅎㅎ



지번주소 확인하는 방법


개별공시지가 열람을 위해서는 주소입력이 필요 한데요.
혹시 찾고 싶은 지역은 있는데 그곳 주소를 모르시나요?

우선 네이버 지도에 접속 합니다.


네이버 지도에서 찾고자 하는 지역을 검색 하면 위와 같이 지도가 나오겠죠?


우측 상당에 있는 [지적편집도] 버튼을 클릭 합니다.
그럼 찾기 쉽게 구/동 지번이 나오게 됩니다.
간단하게 확인이 가능하죠?

여기까지 2017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 공감 버튼 한번 클릭 부탁 드릴께요. ^^